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키마모델
- 데이터베이스
- 개발실무
- Go언어실무
- 실무PT
- 개발자공통지식
- 컴공과개념정리
- golang
- postgredb
- 개발공부
- HTTP
- 유데미
- 파이썬
- 데이터스키마
- 리액트
- 알고리즘
- 자바
- 개발 공식문서
- 코딩강의
- 자료구조
- 코멘토
- 개발자되기
- tableplus
- 웹서버
- 개발 영어실력
- jsx
- Go언어
- 개발 공식문서 읽기
- 코멘토실무PT
- 개발공식문서 어려움
- Today
- Total
목록컴퓨터공학 지식 (4)
웹개발일지
1. CI/CD 1) 사용 요지 : 개발자가 직접 매번 코드를 수정하고 빌드, 테스트, 배포까지 하면 상당히 리소스가 든다. 이 단계들을 자동화하기 위해 CI/CD가 생겼다. 2) CI: '지속적 통합'을 의미. '지속적 통합'이란, 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소스 변동 사항을 정기적으로 커밋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빌드, 테스트를 자동화해준다. 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경우, 코드 변경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 되어 통합된다. 이는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할 때 생겨날 수 있는 충돌 문제 또한 방지한다. 3) CD: '지속적 배포'를 의미. 배포과정을 자동화 해준다. 개발자의 변경사항을 리파지토리에서 고객이 사용가능한 프로덕션 환경까지 자동으로 릴리스한다. 파이프라..

1. 등장 배경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 요청을 해야하는데, 요청을 해야 응답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단방향적 통신을 반복하다보니, 빠른 시간에 데이터를 띄워야하는 주식 프로그램 같은 것에선 비효율이 발생했다. 그 해결 방안으로 웹소켓이 등장했고 서버와 유저가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요청과 응답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게 된 것이다. 2. 작동원리 웹소켓을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 서버간 약속을 맺어야 하는데 그 과정을 '핸드셰이크'라고 한다. 클라이언트가 웹 소켓 열기 핸드셰이크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서버에 요청하면, 서버는 핸드셰이크 수락 응답을 보낸다. 이러한 웹소캣은 단순히 HTTP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닌 TCP/IP 연결 기반으로 동작한다. 사용방법 script의 scoke..

'스크립트언어와 컴파일언어의 차이', 이것만은 꼭! 알고가자며 정리했던 개념이었다. 요즘은 그 구분이 모호해진 언어들도 있다고 느꼈지만, 여전히 많이 쓰이는 언어들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알고 넘어가자고 했다. 목차 1. 실행 방식에서의 차이 2. 런타임 단계와 컴파일 단계의 차이점 3. 어떤 유형을 선택해야 하는가 4. 최근 발전사항 1. 실행 방식에서의 차이 인터프리터 언어 실행 방식 | 인터프리터에 의해 코드를 한줄씩 번역하고 실행한다. 해석 시점 | 런타임 단점 | 실행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런타임에 해석이 진행되므로. 또한, 런타임에 오류가 보고되어 디버깅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언어ㅣ Python, Ruby, JavaScript 컴파일 언어 런타임 전에 실팽 파일로 컴파일..

이 글은 웹을 공부한다면 반드시 알고있어야 할 기초지식, HTTP 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들어가기 앞서, HTTP는 웹 공부를 하고있다면 반드시 알고 들어가야할 개념입니다. 그리고 HTTP 가 가진 메서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을 요청하면 그 요청을 받은 서버는 응답을 주기 위해 어떻게 동작할까요? 이것이 바로 HTTP를 이해하는 핵심 내용입니다. ✏️ HTTP란? HTTP란, 웹에서 동작하는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이란 리소스를 주고받는데 필요한 규약들을 정해놓은 것을 말합니다. 한 마디로 통신 규약입니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이 기초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