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데미
- 개발 공식문서
- 개발실무
- 데이터베이스
- golang
- 컴공과개념정리
- postgredb
- HTTP
- 개발공식문서 어려움
- 파이썬
- 코딩강의
- 코멘토실무PT
- Go언어실무
- 스키마모델
- 개발자되기
- 실무PT
- 자료구조
- tableplus
- 자바
- 코멘토
- 웹서버
- 개발공부
- 개발자공통지식
- 데이터스키마
- 개발 영어실력
- jsx
- 알고리즘
- 개발 공식문서 읽기
- Go언어
- 리액트
- Today
- Total
목록파이썬 (5)
웹개발일지

위와 관련하여 단축키가 존재하는 줄 알고 한참 찾았는데 다 안됐다. 혹시나 단축키 설정에 들어가보니 python run file 에 대해서는 지정된 단축키가 없는 것이었다..! 이렇게 헤매는 분 들이 계실까 하여 기록해 둔다. run file 단축키는 가장 유용한 단축키이기 때문이다. 1. 단축키 설정 메뉴 들어가기 2. 단축키 설정 여기 이렇게 단축키 설정 메뉴가 있다. 들어가서 run file이라 검색하면 python run file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가지 해보다가 ctrl option N이 비어있어서 지정해주었다. 3. 실행 테스트 파이썬 파일에서 지정한 단축키를 실행해주니 파일이 실행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유데미 컴공선배 파이썬 알고리즘 강의 수강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공통점 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완전탐색 방법을 이용한다. 차이점 탐색 순서의 차이 DFS ( Depth 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방법이다. 모든 노드를 탐색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BFS 보다 간단하다 느리다. 스택(Stack), 재귀를 사용해서 구현한다. BFS (Breadth First Search) 너비우선 탐색 방법이다.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한다 -> 최단 경로를 찾을 때 유리하다. 큐(Queue)로 구현한다. 주로 두 노드 사이에 최단 경로를 찾고 싶을 때 BFS 방법을 선택한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친구 관계 그래프로 표현한 후 Sam 과 Eden 사이에 존재하는 경로를 찾는 경우 깊이 우선 탐..
www.acmicpc.net/problem/2420 이 글은 백준 2420을 풀며 관련 개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2420번: 사파리월드 첫째 줄에 두 도메인의 유명도 N과 M이 주어진다. (-2,000,000,000 ≤ N, M ≤ 2,000,000,000) www.acmicpc.net 문제파악 두 정수가 주어지면 절댓값을 구하는 문제였다. 첫 접근방식 조건문으로 두 수의 차를 양수로 나오게 할 알고리즘을 구현했다. a,b = int(input(" 두 수를 입력하세요")) if a >= b: a-b else : b-a print(type(a, b)) 두 번 런타임 에러 (value error)가 나서 찾아보니 타입 오류라는 것이었고 테스트를 위해 타입 출력도 해보았으나 첫 번째 줄에서 나는 오류였다. ..

우선순위 큐는 내부적으로 이진트리형태의 힙이라는 자료구조로 동작한다. 우선순위 큐는 최상단 트리에 있는 요소에 가장 큰 수가 오면 max-heap, 가장 작은 수가 오면 min-heap 이라고 한다. C++에서는 max-heap을 지원하고 파이썬에서는 min-heap을 지원한다. max-heap인 경우 pop()을 했을 때 모든 노드들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뽑아낸다고장담할 수 있다. min-heap의 경우 반대로 항상 작은 값이 나오게 된다. 이 땐 heappop()을 한다. import heapq pq = [] heapq.heappush(pq, 456) # 노드의 맨 뒤에 값을 추가한다 heapq.heappush(pq, 123) heapq.heappush(pq, 789) print("size:", le..

이 글은 유데미 '컴공선배 알고리즘캠프' 강좌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알고리즘 문제 중 DFS 문제에서 스택과 큐가 활용된다. 스택 파이썬에는 C++처럼 스택이라는 자료형이 따로없어 리스트로 스택을 구현했다. 스택이라는 자료형은 먼저 들어온 자료가 나중에 나가는 선입후출 구조이다. 따라서 아래의 코드를 실행한 결과 마지막에 추가된 789가 먼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s = [] s.append(123) s.append(456) s.append(789) print("size:", len(s)) while len(s) > 0: print(s[-1]) s.pop(-1) 조금 특이한 것이 -1의 인덱스를 준 것이다. 파이썬에서 음수 인덱스를 쓰면 가장 맨 뒤로 가서 맨 뒤에서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