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실무PT
- 알고리즘
- 파이썬
- 스키마모델
- postgredb
- jsx
- tableplus
- Go언어
- 유데미
- 개발 영어실력
- 개발실무
- 코멘토실무PT
- 개발 공식문서 읽기
- 개발공부
- 개발자공통지식
- 개발자되기
- 컴공과개념정리
- 자료구조
- 개발 공식문서
- 리액트
- HTTP
- 자바
- 웹서버
- 코멘토
- 데이터스키마
- 데이터베이스
- 코딩강의
- 개발공식문서 어려움
- Go언어실무
- golang
- Today
- Total
목록실무PT (2)
웹개발일지

2주차 [22.12.19 ~ 22.12.23] 코멘토 GoLang 실무PT에 참여하며 2주차 수업을 듣고 복습 중에 있다. 2주차 진도로는 GoLang 프레임워크인 gin을 사용하여 Image 를 업로드 하는 Restful API를 구현하였다. 과제로는 html파일과 연동할 이미지 api를 구현하기로 하였다. gin이 프레임워크인가 라이브러리인가 명확하지가 않아 찾아보니 둘의 차이가 흐름에 대한 제어 권한이라는데, 라이브러리는 그 제어권한이 개발자한테 있다고 하는데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다만 프레임워크는 꼭 가져다 써야하는 코드가 있고 일정한 틀이 정해져있고 그 안에 들어가서 쓴다는 개념이 강한 반면 라이브러리는 가져다 쓰는 개념이 강한데 아직 뭐가 뭐다라고 구별하기엔 이해가 부족한 것 같다. 각설하고..

현재 Go언어를 배우기 시작한지 두달이 넘었다. 유튜브와 책으로 기본 문법을 익히고 웹서버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이해에 어려움이 있어 헤매던 중 코멘토에서 마침 Go언어를 활용한 실무 강좌가 있어 신청했다. Go언어는 강좌가 몇 없고 초보자로서 1-2년 지난 지식을 공부하려면 버전에 따라 변경 사항들이 있어 가끔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런 실시간 강좌를 마련해주셔서 감사하다. 이번 기회에 Go언어를 활용하여 백엔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면 좋겠고, 코드도 보다 구조적으로 볼 수 있는 역량을 키우고싶다. 다만 Go를 배운지도 얼마 안됐고 경력이 없는 상태라 실무자 대상 위주인 코멘토 실습을 따라갈 수 있는 건지 걱정됐었다. 그래서 사전에 문의를 남겼고 관련 지식을 갖고있으면 들을 수 있다는 답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