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TTP
- 개발 공식문서
- 웹서버
- 코멘토
- tableplus
- postgredb
- 스키마모델
- jsx
- 자료구조
- 실무PT
- 데이터베이스
- Go언어
- 파이썬
- 개발자공통지식
- 코멘토실무PT
- 개발실무
- 알고리즘
- 개발자되기
- 리액트
- 개발공부
- 데이터스키마
- Go언어실무
- 유데미
- 코딩강의
- 개발공식문서 어려움
- 개발 영어실력
- 개발 공식문서 읽기
- golang
- 컴공과개념정리
- 자바
- Today
- Total
웹개발일지
[ 1-1 ] Postgres db 스키마 생성하기 본문
이 글은 유데미 강좌를 듣고 학습한 내용입니다.
Backend Master Class [Golang + Postgres + Kubernetes + gRPC]
Backend Master Class [Golang + Postgres + Kubernetes + gRPC]
Learn everything about backend web development: Golang, Postgres, Redis, Gin, gRPC, Docker, Kubernetes, AWS, CI/CD
www.udemy.com
첫 강좌로 포스그레 문법을 사용한 db 작성 후 스키마를 생성하는 db다이어그램이라는 툴을 사용했다. 코드를 작성해주면 아래와 같은 db 스키마가 생성된다.
dbdiagram.io - Database Relationship Diagrams Design Tool
dbdiagram.io
개발할 때 다이어그램 그리는 툴을 항상 찾아헤맸는데 이런 툴을 알게되어서 너무 기쁘다. pdf파일부터 각종 sql 파일로 내려받아 워크벤치로 바로 열어볼 수도 있다. 팀 프로젝트를 하면 팀원들끼리 자료를 공유하기 너무 용이할 것 같다.
코드
Table accounts as A {
id bigserial [pk]
owner varchar [not null]
balance bigint [not null]
currency varchar [not null]
created_at timestampz [not null, default: `now()`]
Indexes {
owner
}
}
// record change to balance
Table entries {
id bigserial [pk]
account_id bigint [ref: > A.id]
amount bigint [not null, note: 'can be negative or ']
created_at timestamptz [not null, default: 'now()']
Indexes {
account_id
}
}
Table transfers {
id bigserial [pk]
from_accout_id bigint [ref: > A.id]
to_account_id bigint [ref: > A.id]
amount bigint [not null, note: 'must be positive']
created_at timestamptz [default: `now()`]
Indexes {
from_account_id
to_account_id
(from_account_id, to_account_id)
}
}
Enum Currency {
USD
EUR
}
개발 주제는 은행 계좌를 만드는 것이다. 만들어낸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accounts: 사용자의 계정이다. 사용자 id, 이름, 잔액, 통화화폐, 생성일을 설정했다.
2. entries: 통장 거래 내역이다. account 와 관계를 맺기 위해 account_id 를 설정한다.
3. transfer: 송금 내역이다. from_account 에서 to_account로 보낸 금액을 amount로 나타낸다. accounts와 one-to-many 관계이다. 사용자는 하나지만 거래는 다량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사용시 유의점
데이터 스키마를 위와같이 작성하여 export한 후 워크벤치, 테이블플러스와 같은 툴에서 파일을 불러다가 사용해야하는데, 위 툴에서 스키마를 작성할 때 오타가 있으면 스키마 테이블이 뜨지도 않고 내가 작성한 그대로의 파일을 export할 수 없으므로 유의하자.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형 DB 특징 및 구성요소 (0) | 2023.05.14 |
---|---|
데이터 베이스 기본 (1) | 2023.05.14 |
[1-3]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과정 - golang (0) | 2023.01.12 |
[1-2] TablePlus - ERROR: table " " does not exist (0) | 2023.01.11 |
[1-2] Postgres & Docker 포스그레 설치 후 도커 실행까지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