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일지

RDMBS vs MongoDB 본문

데이터베이스

RDMBS vs MongoDB

hee_log 2023. 8. 2. 16:41
728x90

특장점 

1. MongoDB RDBMS보다 유연하게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2.  Embedded Reference라는 데이터 저장 방식을 사용 

    - Foreign Key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임베디드 방식  참조 방식 
1개의 Document 데이터를 다른 Document key의 value에 저장하는 방법 (강의정보처럼 동일한 데이터를 각 학생 도큐먼트에 저장하여 구조를 단순화하는 반정규화 모델)  Document를 통째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조할 수 있도록 ID를 저장하는 방식 
한번에 데이터 읽기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읽기 성능이 향상된다.  참조 중인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여러 번의 쿼리문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읽기 성능 저하된다.

 

 

관련 개념

  •  반정규화 :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발(Development)과 운영(Maintenance)의 단순 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을 의미한다.  

   

 

 

참고문서

https://velog.io/@fcfargo/TIL-MongoDB

 

TIL - MongoDB - RDBMS vs NoSQL

# MongoDB vs SQL

velog.io

https://dataonair.or.kr/db-tech-reference/d-guide/sql/?mod=document&uid=333 

 

반정규화와 성능

1. 반정규화를 통한 성능향상 전략 가. 반정규화의 정의 반정규화(=역정규화) 용어는 조금 다르게 표현되어도 그 의미는 동일하다. 여기에서 반정규화는 ‘반(Half)’의 의미가 아닌 한자로 반대

dataonair.or.kr

https://meetup.nhncloud.com/posts/276

 

mongoDB Story 3: mongoDB 데이터 모델링 : NHN Cloud Meetup

mongoDB 데이터 모델링은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방안을 고려하여 도큐먼트를 적절한 방식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3부에서는 도큐먼트의 임베디드 방식과 레퍼런스 방식의 개념 및 데이터 모델링 절

meetup.nhncloud.com